http://yakchobat.com/files/attach/images/672/25ac150166d1c1b79cef64f80f51bc28.jpg
  logo    
먹고! 읽고! 걷고!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삭제되거나 이동 될수 있습니다



숨&결] 양창모 | 강원도의 왕진의사

나는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사태를 이미 5년 전에 겪었다. 전국에서 생활공간 방사선량이 가장 높은 곳은 어디일까? 이곳 일부 지역에서는 경북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보다 4~6배나 높은 방사선량이 측정됐다. 바로 내가 사는 춘천이다(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보고서 2020년). 처음 이 문제를 발견한 게 2014년이었다. 그 이후 6년간 이 문제 해결에 매달렸다. 그때 나를 가장 힘들게 했던 것은, 베크렐이니 밀리시버트니 하는 생경한 말들이 아니었다. 그 전문용어들 뒤에 숨어서 책임져야 할 사람들이 책임지지 않는 모습이었다.

꽤 많은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 직원들을 만났다. 이곳 춘천에 와서 함께 측정해달라 부탁하고 대책을 마련해달라 사정도 했다.

“저보고 후쿠시마 근처에 가서 살라 하면 살 수 있습니다. 방사능으로 (춘천의) 땅값 떨어지면 제가 그 땅 사드릴게요!” 어디선가 많이 들어본 얘기 같지 않은가. 지금 후쿠시마 오염수 사태로 인해 불려 나온 총리와 몇몇 전문가가 한 얘기는, 4년 전 시민들이 개최한 공청회에서 원안위 책임자가 춘천 시민들에게 한 말이기도 하다.

시청 공무원들도 다르지 않았다. “저선량 방사선에 노출된 양에 비례해서 암발생률은 증가한다”는 직업환경의학과 교수의 발제를 듣고도 그들은 최소한의 사전예방원칙도 지키지 않고, 주된 원인으로 추정되는 골재채취장에 대한 아무런 조치 없이 원안위 의견에 근거해 사태를 종결했다.

원안위 사람들도 시청 공무원들도 모두 바람개비 같은 사람들이었다. 바람이 불어야 겨우 돌아갔다. 스스로는 절대 움직이지 않았다. 바람을 만든 사람들은 윗선 책임자들이 아니었다. 수많은 시민이 바람개비가 돌도록 나섰다. 두 아이의 엄마, 과외교습소 교사, 임산부, 취업준비생, 생협 직원…. 이 일에 아무런 책임이 없는 사람들이었다. 그런데도 그들은 자신에게 책임이 있다 생각하고 한발짝 앞으로 나갈 때마다 자기 일처럼 기뻐하고 뒤로 한발짝 후퇴할 때마다 괴로워하며 눈물을 흘렸다. 이들의 힘으로 저 바람개비들은 마지못해 겨우 돌아갔다. 공인들이 자신의 공공조직을 사유화할 때 시민들이 공공기관 역할을 대신하던 모습은, 저주받은 장소처럼 느껴졌던 이곳을 작은 천국으로 만들어주었다.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세계에 사는 건 불덩어리 위에서 사는 것과 같다. 문제는 이 불이 뜨겁지 않다는 것이다. 차라리 뜨겁다면 깜짝 놀라 당장에 그 불덩어리 위에서 내려올 것이다. 하지만 이 불은 기이하게도 냄새도 없고 보이지도 않으며 만질 수도 없다. 그저 무감하게 천천히 타들어 갈 뿐이다.

지금 우리의 사랑이 저 바닷속에 있다. 우리 가족이, 아이들이 한 마리 돌고래처럼 우럭처럼 저 바닷속을 헤엄치고 있다. 그리고 누군가 그곳에, 단지 비용이 적게 든다는 이유만으로 방사성 물질을 풀어놓으려 한다. 그것은 발사된 총알과 같다. 한번 풀어놓으면 어떤 결과를 초래하든 다시 되돌릴 수 없다. 거기에 풀어놓은 게 무엇이든 결국 가장 상위 포식자인 우리의 입으로 들어온다는 것을 다량의 세슘이 검출된 후쿠시마의 우럭은 말해주고 있다.

지금도 내가 소중하게 간직하고 있는 사진이 한장 있다. 그 사진 속에서 한 여성이 아이를 안은 채 ‘방사능 수치가 높은 학교 이름을 공개하라’는 팻말을 들고 강원도교육청 앞에서 시위하고 있다. 그날 그 자리에서 함께 시위했던 나는 일기에 이렇게 썼다.

“알고 보니 그는 시를 쓰고 있는 거였다. 영하 15도의 추운 날씨에, 흰 종이 위에 쓰는 게 아니라 거리 위에 썼다. 펜 대신에 플래카드를 들고 낭송 대신에 구호를 외치며 그는 시를 쓰고 있다. 아이 젖병을 챙기던 손으로 밤새 반핵 마스크를 만들던 그가, 막내를 낳은 지 몇달이 안 된 몸으로 칼바람에 아이를 감싸 안고 피켓을 들고 있는 그가 몸으로 써 놓은 시를 본다. 누구도 써 보지 않은 시가, 살면서 이런 시를 읽어본 적이 없는 나에게 왔다.”

바람개비들은 충분히 질리도록 보았다. 논쟁할 시기는 지났다. 이제 ‘시인들’이 나타날 차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06 쌀농사, 너는 우리의 운명 [2] yakchobat 2008.11.13 2207
1405 성수선이 쓴 꽃피는 자궁 독후감 (잼나요) [2] 약초궁주 2008.11.13 2028
1404 <아주 작은 차이>를 읽고 [3] 지혜자유용기 2008.11.14 2312
1403 너무 편파적인 그림 ㅋㅋ [4] file 약초궁주 2008.11.18 1846
1402 오늘밤~~백분 토론 '김상용' 교수님과 '오한숙희' 님! [1] 약초궁주 2008.11.20 2324
1401 다 세우고 싶다 머리털!( 건강과 감기 제안) 약초궁주 2008.11.22 2426
1400 오늘의 천자문 점-제약부경 [1] 약초궁주 2008.11.25 2195
1399 바지속 전쟁에 평화를^^ [3] file 약초궁주 2008.11.26 2431
1398 아픈 딸, 어리광 엄마. [2] 약초궁주 2008.11.27 1909
1397 목숨을 걸고...<김선주 칼럼> [1] 약초궁주 2008.11.27 1888
1396 주문한 책 두권이 왔으나..머리속엔 그녀 생각이.. 약초궁주 2008.11.28 2173
1395 12월을 보내는 자세잡기 [2] 약초궁주 2008.12.02 2287
1394 간만에 쓴 연애편지... [1] 약초궁주 2008.12.03 1882
1393 내 목에 고삐를 걸지마라~ [4] 약초궁주 2008.12.04 2123
1392 여성들이여, 두려워 말고...제목은 맘에 안들지만. [2] 약초궁주 2008.12.06 2374
1391 애정이 속박이 되지 않는 공동체 (윗글 답글) [2] 보아 2008.12.06 2151
1390 첫사랑 길에서 만나면 어찌하나용(리바이벌) [2] 약초궁주 2008.12.09 2380
1389 강화올레 수로를 걸어서 바다를 만나다.<하점교-창후리포구> [3] file 약초궁주 2008.12.09 3311
1388 축하해! 안심하렴 너는 장수 풍뎅이야 [2] 약초궁주 2008.12.11 2514
1387 강화올레, 걸어서 바다를 만나다 (하점 창후리 수로) [2] file 약초궁주 2008.12.12 2624

side_menu_title

  • 약초밭자유놀이터
  • 먹고! 읽고! 걷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