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yakchobat.com/files/attach/images/671/aa586f70698924dea235ebf53f68a6f2.jpg
  logo    
약초밭자유놀이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삭제되거나 이동 될수 있습니다



간신의 탄생...한겨레에서 퍼왔음.

2013.05.29 10:39

약초궁주 조회 수:1147 추천:96

..... 

 

윤창중이 청와대 대변인으로 임명되었을 때 좌우 모든 진영이 우려했다. 지난 대선 전 그가 보인 언행 때문이었다. 진보진영 후보들을 향해 매체를 통해 던진 언어들은 입에 담기 힘들 정도로 고약했고 행동들은 저속했다. 권력자의 가려운 곳을 천박한 언어로 긁어주는 행동은 춘추전국시대에도 품격 없는 짓으로 경멸받았다. 최소한의 격조도 없는 노골적인 사적 이익의 추구이기 때문이다.
 
윤창중을 중용하고 그런 언행을 높이 평가한다는 잘못된 신호를 보내자 세상이 비릿한 말들로 가득 차게 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5·18 민주화운동을 공공연하게 모욕하는 최근의 사태는 이렇게 왜곡된 인센티브를 제공한 잘못된 신호에도 원인이 있다.
 

윤창중 사건이 공익을 무시한 노골적인 사적 이익의 추구를 권력이 수용할 때 벌어지는 비극적 결과를 보여준다면, 서울대가 추진중이라고 알려진 ‘창조경영학과’는 사익을 위해 어떻게 공익적 가치를 교묘하게 조작할 수 있는지 잘 보여준다. 서울대는 ‘창조경제’를 국가적 명제로 표방했으나 개념이 모호하고 구체적 실천이 어려운 정부 상황을 악용해 자신들의 사적 이익을 관철시키려 했다.
 
 ‘창조경제’와 미래의 빌 게이츠가 그들이 주장하는 ‘체계화된 창업교육’을 통해 얻어진다는 주장은 체계화될수록 창조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모순으로 가득 차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대학에서 그런 몰상식한 주장을 하는 이유가 지적인 무지 때문이라면 슬픈 일이다.
 
그런 아둔한 선생에게 배우는 학생에게 창조적 미래 같은 게 있을 리 없다. 만약 국가적 과제라는 공익을 추구하는 척하면서 입학정원 확대와 재정지원이라는 사욕을 채우기 위해서라면 그들에게 노골적인 경멸과 분노를 표현할 필요가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만담꾼 하선은 대신들을 보며 탄식한다. “도대체 이 나라가 누구 나라요? 부끄러운 줄 아시오.” 그러나 그들은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이 시대의 간신들도 그럴 것인가?
 

김동조 <거의 모든 것의 경제학>저자

side_menu_title

  • 약초밭자유놀이터
  • 먹고! 읽고! 걷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