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yakchobat.com/files/attach/images/672/25ac150166d1c1b79cef64f80f51bc28.jpg
  logo    
먹고! 읽고! 걷고!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삭제되거나 이동 될수 있습니다



제주도 거제도 진도 강화도 완도순이던가.
한국에서 가장 큰 섬 순서로.
요따구나 외우려 드는 나의 건조한 심성으로

집은 커녕 절도 없는 떠돌일수밖에 없는
이 남자가 10년동안 500개의 섬을 가볼 궁리를 하고있으며
현재는  3년간 100개섬을 발로 걸은 글을 썼다.

이야기 나눌 사람이라곤 섬의 바람과 꼬부랑 할매
늙은 강아지들이었을 풍경이.
도시인들을 만족시키는 향수나 낭만과는 무관하게
잔잔하게 펼쳐지는 섬.

절절하게 외롭고 싶고 엄살조차 양심상
떨고 싶지 않을때, 세상살이가 부끄러워 질때
사람들이 미워질때.
뼛속깊이 고독을 잘금 씹고 싶을때.
그래도 내 옆에 따로 사람의 그림자 하나쯤 있어도 될때
이 남자를 따라서 머릿속으로  섬을 걸어보라.

박남준 시인이 아름답게 발문을 써줬기로 베낀다.
~~~~~


그리하여 아름다운 섬들의 풍경

박남준(시인)

한때 이런 꿈을 꾸던 날이 있었다. 몇 년 전 생명평화탁발순례를 다닐 때의 일이다. 밥을 얻고 노숙을 면한 잠자리를 얻어 자며 길 위의 삶을 시작했던 날들, 노고단에서부터 걷기 시작하여 한 달을 넘기고 두 달째에 접어든 지리산자락 어디쯤이었을 것이다.

행복했다. 이대로 삶이 다하는 날까지, 세상의 끝까지 걸어가고 싶었다. 홀로 남겨져 쓸쓸하게 서 있을 빈집과 한봉 벌 한 통과 꽃과 나무들과 텃밭의 채소들, 뒤뜰 작은 연못의 물고기들 염려가 없지는 않았지만 그때는 그랬다.

...... 말을 건넸다. 혹여 길을 가다가 내가 보이지 않거든 그쯤 어디에 나 저 깜박이는 별들의 하늘로 돌아갔으려니 생각해달라고 했다. ..... 비바람과 눈보라의 시간이 흘러 나무가 다시 흙으로 돌아가는 무렵까지 혹여 나를 기억하고 소주잔을 기울이며 안주 삼을 정도면 된다고 했다.

그 후 강제윤을 만나며 ... 보길도, 저 바다 너머 섬마을, 그의 우거처였던 동천다려에서는 동백이 뚝뚝 각혈을 하며 땅에 떨어지듯 그가 그렇게 겨울 바닷바람에 맞서 모질게도 유배처럼 살고 있으리라 여겼다.

그는 다시,  훌쩍 보길도를 떠나 목수 일을 배우고 집을 짓는 일을 하며 역마처럼 떠다닌다고 했다. ...섬들과 섬들의 삶으로 발걸음을 떼어놓는 그의 소식이 바람결에 실려 왔다. 코끝에 소금기가 묻었는가. 가슴 한켠 파랑처럼 갯내음이 얼핏거렸다.

  해가 기운다. 저문 겨울 밤하늘에 시리듯 푸른 별들이 배어나온다. 어디에서 늙은 곡비의 목 쉰 울음이 아른거리는가. 그대여 이밤, 어느 섬의 하늘 아래 외로운 파도소리와 별빛을 벗 삼아 술잔을 기울이고 있는가.

......
그리하여 아름다운 풍경이다. 눈에 보여지는 것만이 아닌 거기 담겨있는 진실일 것이다. ....오래 걷고 깊게 들여다 본 풍경과 그늘이 이룬 섬들의 이야기가 있다. 상처와 그 상처를 껴안고 쓰다듬어 치유로 나가려는 섬들의 이야기가 있다.
섬의 어제와 섬의 내일로 가는, 귀 기울이면 쓸쓸하나 쓸쓸하지 않는 파도처럼 밀려오는,

이 나라 섬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가만히 베개 밑에 놓는다.


~~~봐봐 그말을 따라서 나는 베게위에 누워서
책을 펼쳤더니  끄윽 끄억 더 슬퍼지는거 있지.


강제윤은 이렇게 말했어.
'어제는 꽃이 피는가 싶더니 오늘은 또 눈이 내린다. ... 햇볕이 나자 눈은 흔적도 없다. 삶 또한 그러하다.  

.... 나는 늘 삶에 대해 서툴다. 그렇다고 내 삶이 실수투성이인 것을 책망할 생각은 없다. 누구나 그렇듯이 나 또한 처음 살아보는 삶이 아닌가.

강제윤/ 떠돌이 시인/  3년간 100여 개의 섬을 걸었다./


"제1부 바람이 불어오는 곳
1. 숲은 바람 속에서 깊어진다 - 거제 지심도
2. 죽음 곁에서도 삶은 따스하다 - 통영 욕지도
3. 성도 이름도 없이 '아무것이네' 하고 - 통영 연화도
4. 미륵 섬으로 가는 길 - 통영 우도ㆍ두미도
5. 자기 땅에 세 들어 사는 섬 - 통영 매물도ㆍ소매물도

제2부 가시나무도 제 가시를 숨기지 못하고
6. 한국의 이스터 섬 - 완도 여서도
7. 사람은 빛으로부터 왔다 - 완도 덕우도
8. 겨울 산이 가장 깊다 - 옹진 자월도
9. 해적 섬 - 옹진 대이작도ㆍ소이작도
10. 못 살아, 모래하고 밥 말아 먹고 못 살아 - 신안 임자도
11. 날 사랑 한다고 말해요 - 군산 어청도ㆍ연도

제3부 돌과 바람의 나라
12. 바람의 통로 - 제주 가파도
13. 생사 불이의 법당 - 제주 마라도
14. 바다는 이 행성의 피다! - 제주 추자도
15. 포로수용소의 추억 - 통영 추봉도
16. 삶은 사소함으로 가득하다 - 통영 비진도

제4부 달이 차고 기우는 그곳
17. 우리는 모두가 슬픔의 후예다 - 강화 볼음도ㆍ아차도ㆍ주문도ㆍ말도
18. 관음보살을 친견하다 - 강화 석모도
19. 괴뢰 섬을 아시나요? - 강화 미법도ㆍ서검도
20. 영국군 수병 묘지에서 쓰는 편지 - 여수 거문도
21. 외연도 사랑나무 아래서 - 대천 외연도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6 간만에 쓴 연애편지... [1] 약초궁주 2008.12.03 1882
325 마음 깊이 머무는 달-1월 [3] file 약초궁주 2010.01.05 1882
324 목숨을 걸고...<김선주 칼럼> [1] 약초궁주 2008.11.27 1888
323 정운찬 총리를 바라보는 김선주, 조국 선생님의 칼럼. 약초궁주 2009.09.23 1891
322 첨가제 종류들~~즉석요리가 최고!. 약초궁주 2011.10.07 1892
321 ADHD 약물치료 -키 안크고 발작까지…후회하는 부모들(한겨레펌) [3] 약초궁주 2013.04.04 1892
320 내 몸을 만져주세요 (교보생명 다솜이) [2] 약초궁주 2010.05.25 1902
319 힘내라 편도선! (뇌력충전 원고중에서) 약초궁주 2009.09.03 1903
318 싱글 맘, 그대 몸과 마음에 아픔 대신 사랑을 채워라 약초궁주 2009.08.13 1905
317 아픈 딸, 어리광 엄마. [2] 약초궁주 2008.11.27 1909
316 선생님..혼자만 좋은 약 다 먹는것 같다고라? 약초궁주 2009.07.14 1909
315 양희은의 <시골밥상> 과 이경자샘 글 file 약초궁주 2011.10.05 1911
314 통영 다녀온 내 마음이 꼭 이래서...(이생진의 시) [7] file 약초궁주 2012.01.31 1911
313 참새야 방가방가~~ [6] file 약초궁주 2013.02.05 1911
312 화장품 비법- 쏘쿨 응답하라 스킨과 로션 짱!!! file 약초궁주 2013.05.14 1912
311 [사랑이 무어냐고 물으신다면] 선생님 전 상서 장철학정명원 2009.10.08 1913
310 면역탕과 시금치출판사장님의 편지 [7] 약초궁주 2009.11.25 1915
309 '장자연'을 살려내자 <김선주칼럼> [1] 약초궁주 2009.05.06 1916
308 *축* 20년 남녀우정~ [3] 약초궁주 2010.11.04 1916
307 거북선의 위용을 보라 ㅋㅋ [4] file 약초궁주 2010.11.18 1916

side_menu_title

  • 약초밭자유놀이터
  • 먹고! 읽고! 걷고!